분류 전체보기 (108) 썸네일형 리스트형 플로팅(Floating) 현상과 Pull-up & Pull-down의 개념 📍플로팅(Floating)현상과 Pull-up & Pull-downPull-up과 Pull-down을 사용하는 이유는 플로팅 현상 때문이다. 따라서, Pull-up과 Pull-down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플로팅(Floating)이란 개념을 이해해야한다. 1️⃣ 플로팅(Floating) 이란? 플로팅(Floating)이란 단어의 의미를 생각해보자면 떠있는 상태,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뜻한다. 전자회로에서는 아무것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 또는 서로 절연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즉, '0'인지 '1'인지 알 수 없는 상태로 아무것도 연결되어 있지 않아 전압을 모르는 상태이다. 다음의 상황을 보면 이해가 더 쉬울 것이다. 1) 아래의 상황은 입력핀에 5V를 입력받고 있다. 2) 아래의 상황은 입력핀에.. 전류, 전압, 저항, 옴의 법칙(Ohm’s Law) 📍 전류(Current)란? 전류란 전자가 이동하는 흐름을 의미하며, 단위는 암페어(A)이다. 전자가 많이 흐를수록 전류가 크고, 적게 흐를 수록 전류가 작다. 예를 들어 전류는 강이나 수도관 속을 흐르는 물과 같다. 수도관을 통해 물이 많이 흐르면 강한 전류가 흐르는 것과 같고, 적게 흐르면 약한 전류가 흐르는 것과 같다. 1️⃣ 전류의 특징전류는 반드시 닫힌 회로(Closed Circuit)에서만 흐른다. 전류가 흐르려면 회로가 완전히 연결되어 있어야한다. 만약 회로가 끊어지면(스위치를 끄거나, 배선이 끊어지면)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2️⃣ 전류의 방향전자(e-)의 실제 이동 방향은 (-)에서 (+)로 흐른다. (전자 흐름)하지만 회로 이론에서는 편의상 (+)에서 (-)로 흐른다고 가정한다. .. 저항(Resistance)의 개념과 저항을 사용하는 이유 📍 저항이란? 저항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소자로 단위는 옴(Ω)을 사용한다. 물질 내부의 자유전자가 이동하게 되면 전자는 전기적 성질을 갖게 되므로, 전류의 흐름이 생긴다. 이 자유 전자들은 물질의 내부를 구성하는 원자들 사이를 이동해야 되는데 이 때, 원자와 자유 전자가 충돌하여 운동을 방해받는다. 이러한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저항(Resistance)라고 한다. 물질의 전기저항은 물질의 종류, 전선의 단면적, 전선의 길이, 온도 등에 의하여 차이가 생기게 된다. 또한 전자의 이동의 차이로 인해, 같은 물질이라도 단면적의 크기가 클수록 전자의 이동 공간이 커져 저항은 적게 되고, 길이가 길수록 전자가 이동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떄문에 저항은 커지게 된다. 저항의 역할은 에.. Union-Find (Disjoint-Set) Data Structure -2 https://codinghago.tistory.com/73 Union-Find (Disjoint-Set) Data Structure -11. Union-Find 란?Union-Find는 disjoint(겹치지 않는) 집합들의 모음을 관리하는 자료 구조이다. 각 요소는 하나의 집합에 속하며, 초기에는 각 요소가 독립적인 단일 집합으로 시작한다.전체 원소는 n개codinghago.tistory.com 1. Union-Find의 기본 구현의 단점 Union 연산을 반복할수록 트리가 높아질 수 있고 트리가 높아지면 Find 연산의 시간 복잡도가 커져 비효율적이 된다. 예를 들어 연속된 Union 연산으로 트리가 길게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트리가 길어지지 않도록 트리의 높이를 줄이는 방법을 도입해야 하.. 다이오드(Diode)개념과 정류기능 📍 다이오드(Diode)란 ? 다이오드(diode)란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반도체 부품으로 정류(AC-DC)에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회로에서는 원래 전류가 한 방향으로 흐른다. 전자 회로에서 전류는 전원의 (+)에서 (-)로 흐르는 방향으로 설계된다.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 역방향 전류가 흐를 일이 별로 없다. 하지만 실제로는 역방향 전압이 거릴 수 있는 상황이 많기 때문에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전류의 방향을 한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과 역방향 전압이 걸렸을 때 다이오드가 충분한 내압을 가져야 회로가 안전하게 동작한다. 1️⃣ 다이오드의 역할✅ 전원 극성이 바뀔 가능성이 있을 때 전원을 잘못 연결할 경우 회로가 손상될 수 있다. 다이오드를 전원 입력 부분에 보호 다이오드로 ..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개념과 사용예시 📍 EEPROM이란? EEPROM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한 종류이다. EEPROM을 보기전 ROM과 다른 것들을 간단하게 살펴보자. ROM (Read Only Memory) : 읽기만 가능한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 읽기도 가능하고 다른 정보를 기억시킬 수도 있는 메모리 PROM (Programmable ROM) : 프로그램이 가능해진 ROM. 내부 회로를 변경해 데이터를 쓸 수 있다.EPROM (Eragable Prom) : 자회선을 이용해 정보를 여러번 쓰고 지울 수 있다. ✅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은 한번만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 PROM의 내부구조가 퓨즈를 이용하기 때문에 한번 기록하면 내용을 바꿀.. EPEC Controller의 CAN1과 CAN2 차이 📍 EPEC Controller의 CAN1과 CAN2 EPEC Controller에서는 여러개의 CAN포트를 가질 때, 이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고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CAN을 CAN1과 CAN2로 구분한다. 이건 EPEC내부적인 포트 구분일 뿐, 일반적인 CAN네트워크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용어는 아니다. 1️⃣ CAN1과 CAN2의 개념 CAN1은 주로 엔진 제어, 변속기 제어, ABS, ESP 등 주요 ECU(Electronic Control Unit)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고속 CAN (500kbps~1Mbps) 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CAN2는 에어컨, 오디오, 창문 제어 등과 같은 차량 내 편의 시스템이나 추가적인 서브 네트워크와 같은 보조 시스템이나 저속 통신을 담당하는.. 전자회로 왕초보의 기초 - 1.주요 부품 설명 📍 전자회로 왕초보전자회로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요 부품들이 각각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표기하는지를 간단히 알아보자. 1️⃣ 전지의 종류 전지의 크기는 전압과는 무관하며, 방출할 수 있는 전류의 크기와 관계가 있다. 전지의 크기는 AA, AAA, CM등의 명칭으로 구분한다. 1,2 : 우리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건전지3 : 충전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카드늄 전지4 : 자동차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납축 전지5 : 고체 수소전지로 성능은 니켈카드늄 전지의 2배지만, 가격이 고가이며 전용 충전기를 사용해야 한다. 디카에 많이 사용된다. 6 :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여러가지 전압을 만들 수 있는 전지 홀더이다. 전지의 심볼은 우측과 같다. 전지의 종류는 많지만 전지의 목적은 회로에 필요한 전압괴 .. 이전 1 2 3 4 5 6 7 8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