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8)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료구조] 힙(heap) 최소힙(min heap), 최대힙(max heap) C++ 구현 큐(Queue) : 먼저 들어오는 데이터가 먼전 나가는 선입선출(FIFO) 구조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 :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구조힙(Heap) : 루트 노드에 최대값이나 최소값을 저장하고 있는 완전이진트리📍 힙(heap)이란?Heap은 완전이진트리 형태의 자료구조로 우선순위 큐를 위하여 만들어지 자료구조이다. 여러개의 값들 중에서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빠르게 찾아내도록 만들어진 자료구조이다. 힙(heap)은 완전히 정렬된 구조가 아니라 "부분적으로 정렬된"(느슨하게 정렬된) 구조이다.즉, 전체가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부모 노드의 값이 자식 노드의 값보다 항상 크거나(최대힙) 작다(최소힙)는 조건만 만족하면 된다. 최대 힙(max hea..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 최단경로 알고리즘 📍 다익스타라 알고리즘 이란?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은 그래프에서 한 정점(node)에서 다른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거리를 각각 구하는 알고리즘으로, 최단 경로 문제에 사용된다. 그래프 방향의 유무는 상관이 없지만, 간선(Edge)들 중 단 하나라도 가중치가 음수이면 이 알고리즘은 사용할 수 없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두 꼭짓점 간의 가장 짧은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이지만, 이 과정에서 도착 정점(node) 뿐만 아니라 모든 다른 정점까지 최단 경로로 방문하며 각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모두 찾게 된다. 그래서 그래프의 다른 모든 꼭짓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으로 최단 경로 트리를 만드는 것으로도 사용한다. 매번 최단 경로의 .. YOLO모델 버전별 차이점과 YOLO에 얽힌 많은 이야기들 YOLO는 ML/CV의 많은 발전을 주도하고 Object Dtection의 새로운 획을 그은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2015년 발표된 이후 지금까지 꾸준한 업데이트를 통해 많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만큼 여러 논란과 발전이 있었던 YOLO 모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YOLO란 ? YOLO는 Real time Object Detection을 가능하게 해준 대표적인 모델이다. YOLO의 저자는 Joseph Redmon로 ML/CV의 많은 발전을 기여했다. ( YOLOv3를 마지막으로 지금은 업계를 떠남ㅠ, 자신이 개발한 기술이 도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며, AI 연구의 영향력에 대해 회의를 느끼고 은퇴를 선언했다... YOLO - You Only Look Once Real-Time Object Detection 논문 리뷰 📍 YOLO(You Only Look Once)란? YOLO는 Real Time Object Detection으로 2015년 조셉 레드몬에 의해 등장했다. Object Detetion은 two-stage와 one-stgae로 분류할 수 있다. YOLO는 one-stage로 YOLO이전의 Classifier를 base로 하던 모델에서 single neural network로 한번에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모델을 소개했다. YOLO 빠른 속도는 동영상과 같은 실시간으로 객체 인식과 객체 검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YOLO는 객체 인식 분야에서 잘 알려진 모델로 현재까지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늘은 YOLO의 첫번째 논문을 살펴보고자 한다. YOLO 논문 YOLO는 object d.. Pulse Input 펄스 입력 이란? Pulse Input(펄스 입력) 이란?펄스는 주기적으로 ON/OFF(1과 0) 상태가 반복되는 신호를 말한다. 특정 시간 동안 HIGH(1) 상태를 유지한 후 LOW(0)로 떨어지는 신호를 의미하며, 짧거나 길든 간에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하는 신호를 펄스라고 한다. 펄스 입력은 신호가 특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변하면서, 시스템이 이를 감지하여 동작을 수행한다.쉽게 말하면 "켜졌다(1), 꺼졌다(0)“를 반복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것이다. - 펄스 입력의 예시 ) ✅ Liter/Pulse 리터가 흐르면 하나의 펄스를 내보낸다는 의미를 뜻 한다.위 그래프에 10초가 흐른 상태라고 했을 때, 10초에 2개의 신호가 잡혔음으로10초에 2리터가 센서를 통해 흘렀다는 뜻이다. ✅ 로터리 엔코더.. NOTION 노션 slice()함수 에러,ERROR : text 유형의 인수가 slice() 함수를 만족하지 않습니다. 노션에서 프로그래스 바를 구현하던 중 다음과 같은 에러가 계속 발생했다.text 유형의 인수가 slice() 함수를 만족하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slice()함수를 잘못사용하고 있는 줄 알고 문서를 읽어봤지만 문제가 없었다. 한참을 고민하고 다른 방법으로도 시도 해 보았지만 같은 에러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그러던 중 notion answer 에서 이런글을 발견했다. 나랑 정확히 똑같은 에러였다. 다행히 이전에 해결한 분이 있어서 금방 해결했다. slice() 함수 대신 substring()사용하면 된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notion에서 update를 한것 같다. 휴... 감사합니다 ㅎ 전자회로 왕초보의 기초 - 2.기초 회로도 📍 전자회로 왕 기초 회로도 1️⃣스위치가 열려있을 때 (OFF 상태)S1이 열려있으므로 전류가 흐를 수 없음D1과 D2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LED1과 LED2는 둘 다 꺼져있음스위치가 닫혀 있을 때 (ON 상태)S1이 닫히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가 생김D1을 통해 LED1로 전류가 흐름 so, LED1이 켜짐D2는 역방향이므로 LED2는 여전히 꺼짐 회로의 스위치(S1)가 닫히면 LED 1은 켜지고 LED2는 꺼진 채로 남아있다. 그 이유는 다이오드의 전류특성 때문이다. (R1, R2는 전류제한용 저항) 이러한 다이오드의 선택적 특성은 교류(AC)를 직류(DC)로 변환하는 많은 회로에 응용되고 있다. 2️⃣콘덴서(C1 = 100μF, C2 = 330μF, C3 = 470μF).. 솔레노이드의 개념과 동작원리 📍 솔레노이드란? 1️⃣ 솔레노이드는 도선을 촘촘하게 원통형으로 말아 만든 기구이다. 솔레노이드는 전기를 흘려 자기장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전자석으로 주로 사용되며, 유도자(인덕터)의 일종이다. 쉽게 말하면, 전기를 이용해서 자석처럼 작동하는 장치이다. 솔레노이드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자기력이 발생하며 내부의 금속 막대(플런저, Piston, Core)를 이동시키는 원리를 이용해 다양한 산업 기계 및 자동화 시스템에서 활용된다. 교류를 이용하는 전자회로에 아주 유용하게 쓰인다. 2️⃣ 솔레노이드의 기본 원리 솔레노이드는 크게 전선으로 감긴 코일(솔레노이드 코일)과 내부의 금속 막대( 플런저, 철심)로 구성된다. 코일은 전기를 흘리게 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자석이 되는 성질을 갖고있다. ..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