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솔레노이드란?
1️⃣
솔레노이드는 도선을 촘촘하게 원통형으로 말아 만든 기구이다. 솔레노이드는 전기를 흘려 자기장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전자석으로 주로 사용되며, 유도자(인덕터)의 일종이다.
쉽게 말하면, 전기를 이용해서 자석처럼 작동하는 장치이다.
솔레노이드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자기력이 발생하며 내부의 금속 막대(플런저, Piston, Core)를 이동시키는 원리를 이용해 다양한 산업 기계 및 자동화 시스템에서 활용된다. 교류를 이용하는 전자회로에 아주 유용하게 쓰인다.
2️⃣ 솔레노이드의 기본 원리
솔레노이드는 크게 전선으로 감긴 코일(솔레노이드 코일)과 내부의 금속 막대( 플런저, 철심)로 구성된다.
코일은 전기를 흘리게 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자석이 되는 성질을 갖고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자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며, 발생되는 자기에너지의 힘을 이용해 기계를 움직일 수 있는 동력을 얻는다. (자기장의 크기는 전류의 크기, 코일의 지름, 감긴 횟수에 비례함) 자기장의 힘에 의해 금속 막대를 움직일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기계적인 에너지로 선형적인 운동을 발생시켜 제어운동을 하게 된다.
✔ 전기가 흐르면 → 코일이 자기장을 만들어 플런저를 움직인다.
✔ 전기가 끊기면 → 플런저가 원래 자리로 돌아간다.
이 원리는 이용해 밸브, 도어락, 전자기기, 자동화 장비 등에서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3️⃣ 솔레노이드의 구조
솔레노이드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있다.
구성요소 | 설명 |
코일(Coil) | 전선을 감아서 만든 부분,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함. |
플런저(Plunger) 또는 코어(Core) | 솔레노이드 내부에서 움직이는 금속 막대(자성을 띰). |
스프링(Spring) | 전기가 꺼지면 플런저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함. |
하우징(Housing) | 솔레노이드를 감싸 보호하는 외부 케이스. |
4️⃣ 솔레노이드의 동작원리
✅ 전류가 흐르지 않을 떄 (OFF 상태)
- 플런저는 스프링 힘에 의해 원래 자리에 있다.
- 밸브의 경우, 공기나 유체가 흐르지 않는다.(닫힘 상태)
✅ 전류가 흐를 때 (ON상태)
-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한다.
- 자기력에 의해 플런저가 움직여 밸브가 열리거나, 특정 기계 부품이 작동한다.
- 플런저가 움직이면서 공기나 유체가 흐를 수 있다. (열림 상태)
✅ 전류가 끊길 때 (OFF상태)
- 전류가 끊기면 자기장이 사라진다.
-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플런저가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간다.
- 밸브가 닫히고, 공기나 유체의 흐름이 멈춘다.
5️⃣ 솔레노이드의 종류
솔레노이드는 용도와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리니어 솔레노이드, 로터리 솔레노이드, 솔레노이드 밸브가 있다.
✅ 리니어 솔레노이드 (Linear Solenoid)
- 플런저가 직선(리니어)으로 이동하는 구조.
- 솔레노이드 밸브, 전자식 도어락, 기계식 스위치 등에 사용됨.
✅ 로터리 솔레노이드 (Rotary Solenoid)
- 플런저가 직선으로 이동하는 대신, 회전(로터리)하는 방식.
- 자동화 기계, 로봇 팔, 전기 기계에서 많이 사용됨.
✅ 솔레노이드 밸브 (Solenoid Valve)
- 공기 또는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 전류가 흐르면 밸브가 열리고, 전류가 끊기면 밸브가 닫힘.
- 공압 시스템, 자동차 연료 제어 시스템, 냉장고, 세탁기 등에 사용됨.
6️⃣ 솔레노이드의 장점과 단점
솔레노이드는 다양한 산업과 생활 속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 | 연료 분사 장치, 자동 변속기, 전자식 도어락 |
공압 시스템 |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기 흐름 제어 |
유압 시스템 | 유압 밸브를 제어하여 기계 동작 수행 |
가전제품 | 세탁기 급수 밸브, 냉장고 자동 제빙기 |
의료기기 | 혈액 분석기, 의료용 공압 장비 |
산업 자동화 | 공장 기계 제어, 로봇 팔 구동 |
✅ 장점
- 빠른 응답 속도 → 전기가 흐르면 즉시 작동한다.
- 높은 내구성 → 기계적 마찰이 적어 오래 사용 가능하다.
- 간단한 구조 → 유지보수가 쉽고 설치가 간편하다.
- 다양한 응용 가능 → 자동차, 가전, 공장 자동화 등
❌ 단점
- 전력 소비 → 계속 전원을 공급해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있다.
- 발열 문제 → 장시간 사용 시 코일이 뜨거워질 수 있다.
- 자기장 간섭 → 강한 자기장이 주변 전자기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https://m.blog.naver.com/roboholic84/220460620623
솔레노이드란? (솔레노이드(Solenoide), 전자석, 솔레노이드 스위치, 솔레노이드 코일, 솔레노이드
[ 코일의 성질을 이용한 전자부품 솔레노이드(Solenoid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blog.naver.com
솔레노이드 밸브 원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 원리와 구성요소, 작동원리 그리고 기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는 전기자기적인 (Electromagnetic) 신호를 사용하여 유
rowoonblog.com
'하루 30분 전기.전자.하드웨어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lse Input 펄스 입력 이란? (0) | 2025.02.25 |
---|---|
전자회로 왕초보의 기초 - 2.기초 회로도 (0) | 2025.02.20 |
플로팅(Floating) 현상과 Pull-up & Pull-down의 개념 (0) | 2025.02.17 |
전류, 전압, 저항, 옴의 법칙(Ohm’s Law) (0) | 2025.02.14 |
저항(Resistance)의 개념과 저항을 사용하는 이유 (0) | 2025.02.14 |